민주평통 창설배경
“자문회의는 시대적 여건에 따라 역할과 위상의 차이가 있어왔으나 평화통일이라는 일관성 있는 대원칙 아래 통일정책을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헌법기관으로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국민의 통일의지와 역량을 결집하여 민족의 염원인 평화통일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고자하는 시대적 상황과 국민적 여망으로 인해 1980년대 초반에 범국민적 통일기구로 설립되었습니다. 특히 다변화하는 주변국의 정세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통일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 초당적·범국민적 차원에서 통일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가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민주평통 창설의의
남북간 교류협력 사업 강화, 인도적 지원증가, 금강산 육로관광 착수, 철도 · 도로 연결사업 등 급격한 남북간의 상황변화에 발빠르게 대처하는 탄력적이고 내실있는 자문 · 건의에 힘쓰고 있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전 국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통일의지를 확산해 나가는 범국민적 통일인식 확산 운동에 힘쓰고 있습니다.
민주평통 연혁
2020 | 12.25 | 배기찬 사무처장 취임 |
2019 | 09.01 | 정세현 수석부의장 취임 |
09.01 | 제1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07.30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법 시행령」 개정(영 제30006호) | |
06.19 | 이승환 사무처장 취임 | |
2017 | 10.31 | 제18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9.01 | 김덕룡 수석부의장 취임 | |
09.01 | 제18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06.12 | 황인성 사무처장 취임 | |
2016 | 07.08 | 권태오 사무처장 취임 |
01.21 | 배정호 사무처장 취임 | |
01.06 | 유호열 수석부의장 취임 | |
2015 | 07.01 | 제17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회의 개최 |
2013 | 08.28 | 제16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7.01 | 제16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06.03 | 박찬봉 사무처장 취임 | |
05.03 | 현경대 수석부의장 취임 | |
2012 | 02.04 | 남성욱 사무처장 취임 |
2011 | 07.01 | 제15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회의 개최 |
07.01 | 김현욱 수석부의장 취임 | |
03.25 | 이상직 사무처장 취임 | |
2010 | 05.25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법 」 개정(법률 제10309호)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직급 정무직화 |
03.25 | 김병일 사무처장 취임 | |
2009 | 07.01 | 제14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회의 개최 |
2008 | 09.01 | 이기택 수석부의장 취임 |
06.02 | 김대식 사무처장 취임 | |
2007 | 07.01 | 제13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회의 개최 |
2006 | 12.15 | 김상근 수석부의장 취임 |
09.20 | 오세정 사무처장 취임 | |
2005 | 07.01 | 제12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회의 개최 |
10.28 | 이재정 수석부의장 취임 | |
2003 | 09.24 | 제11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7.11 | 김희택 사무처장 취임 | |
07.01 | 제11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05.27 | 신상우 수석부의장 취임 | |
2002 | 01.26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법 시행령」 개정(영 제17493호) |
2001 | 09.06 | 제10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8.21 | 강동현 사무처장 취임 | |
07.01 | 제10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2000 | 02.25 | 김민하 수석부의장 취임 |
1999 | 10.05 | 제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7.01 | 제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06.12 | 손진영 사무처장 취임 | |
05.24 | 통일부 소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국에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로 독립(영제16364호) |
|
1998 | 09.23 | 제8기 제2차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개최(자문위원 13,340명) |
03.20 | 이수성 수석부의장 취임 | |
02.28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가 통일부 소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국으로 개편(영제15705호) |
|
1997 | 07.09 | 제8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7.01 | 제8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03.06 | 정호근 사무총장 취임 | |
1996 | 04.01 | 오자복 수석부의장 취임 |
1995 | 08.21 | 제7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7.01 | 제7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1994 | 12.24 | 박상범 사무총장 취임 |
05.04 | 김명윤 수석부의장 취임 | |
1993 | 07.06 | 제6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7.01 | 제6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06.29 | 이홍구 수석부의장 취임 | |
05.15 | 기관지 제호「민주평통」으로 변경 | |
02.26 | 유경현 사무총장 취임 | |
1992 | 01.09 | 송한호 사무총장 취임 |
1991 | 07.12 | 제5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7.11 | 홍성철 수석부의장 취임 | |
06.29 | 제5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 | |
1990 | 03.19 | 현경대 사무총장 취임 |
1989 | 01.09 | 민관식 수석부의장 취임 |
1987 | 10.29 | 헌법 92조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로 명칭 변경 |
06.03 | 제4기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
06.01 | 제4기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출범 | |
1985 | 06.05 | 제3기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06.03 | 주영복 수석부의장 취임 | |
06.01 | 제3기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출범 | |
02.21 | 김창식 사무총장 취임 | |
1983 | 07.07 | 서정화 사무총장 취임 |
06.01 | 제2기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전체회의 개최 | |
1982 | 01.04 | 손재식 사무총장 취임(통일원 장관 겸임) |
1981 | 09.09 | 기관지 「평화통일」 창간 |
06.05 | 제1기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출범회의 개최 | |
05.07 | 초대 김정렬 수석부의장 취임 | |
04.07 |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법 시행령」 공포(영 제10276호) – 사무처 창설 및 초대 이범석 사무총장 취임(통일원 장관 겸임) |
|
03.14 |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법」 공포(법률 제3383호) | |
1980 | 10.27 | 헌법 제68조에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설치 명시 |